원주변(邊/邉)씨 전서공파(典書公派) 및 첨지공파(僉知公派)
심양후(원), 전서공파(고려장관), 첨지공파(조선소장)
고려말기에서 조선으로 변하는 시기의 변안열의 역할
-
변안열은 고려말 충신으로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세워지는 시기동안 산 사람이다. 변안열 조선 태조 이성계의 개혁을 반대하며 말했던 답변가를 ‘불구가(설득 당하지 않고 고려에 대해 충성을 하겠다는 답변)’라 하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굴가(不屈歌)
-
"내 가슴 말(斗)처럼 구멍 뚫어 새끼줄로 길게 길게 꿰어 앞에서 끌고 뒤어서 당겨 갈리고 찢길망정 너희들 하는 대로 내 사양치 않으리라. 내 임금 빼앗는 일 나는 굽힐 수 없도다."
-
「불굴가(不屈歌)」가 그의 시가로 밝혀졌다. 따라서 그의 고려 왕조에 대한 충성심을 엿볼 수 있다. 불굴가는 일명 ‘충의가’라고도 한다. 『원주변씨세보(原州邉氏世譜)』 경신보(庚申譜) 권1 잡록부(雜錄附)에서 찾아볼수 있다.
-
대은 변안열의 평가를 위해서 고려말을 살펴보면 고려왕 우왕은 왕씨가 아니라고 몰렸으며, 권력의 탐학과 전횡을 일삼던 이인임은 왕권과 신하들을 위협하다가 이성계에게 처형당하고, 급진개혁가 정도전은 이성계의 힘을 빌어 역성혁명을 꿈꾸었다.
-
만약, 변안열이 억울하게 순절하지만 않았어도, 고려왕조는 계속되었을지도 모를 일인 것이다. 고려사에서 변안열을 이성계가 처형했다고 기록했다.
-
대은 변안열은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에서 회군 하였다. 이는 이성계와 고려를 바로 세우려는 충신으로서 같은 뜻을 가졌지만 이성계와 추구하는 목표는 달랐다. 그러나 변안열은 고려 왕 우왕 복위 사건에 휘말려 억울하게 순절했다.
-
조선 개국후 조선 태조(이성계)는 개국 이등 공신에 기록하였으며, 변안열의 집을 방문하고 변안열을 그리워하고 태조는 변안열의 후손에게 벼슬을 주려고 하였다. 그러나 변안열의 후손들은 거절하였으며, 태종(11년)때가 돼서야 변안열의 아들 변이를 상호군(上護軍)에 임명되고, 원종공신(元從功臣)에 1등으로 책록한 것이다. 변안열은 고려의 충신이었다. 대은 변안열은 고려의 마지막 무신이었다.
변안렬이 등장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