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변(邊/邉)씨 전서공파(典書公派) 및 첨지공파(僉知公派)
심양후(원), 전서공파(고려장관), 첨지공파(조선소장)
일제강점기1910~1945:
조선은 35년간 일본의 식민지 하에 통치를 받는다. 일제강점기(1910년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이 조선인을 지배하고 식민지로 삼은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조선인들은 다양한 어려움과 억압을 겪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삶에 대해 설명한다.
-
국가적 억압: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로 존재하게 되면서 일본의 국가적인 억압을 받게 되었다. 조선인들은 일본의 국어, 교육 체제, 법률 체계 등을 강요받아야 했으며, 일본의 국가정책에 따라 조선인들의 문화와 언어가 차차 금지되거나 억압받았다. 경제적 착취: 일본은 조선을 자원 공급원으로 이용하였다. 조선은 일본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주로 농업과 양봉, 산업 생산에 활용되었다. 그 결과로 조선의 자원은 일본으로 수출되고, 조선인들은 저임금 노동과 착취를 당했다.
-
문화적 억압: 일제는 조선의 문화와 언어를 부정하고 일본화를 강요했다. 조선의 역사와 문화는 무시되거나 왜곡되었고, 일본어 사용이 강제되었다. 조선인들은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국가주의적인 일본화 정책에 따라 조선인의 정체성이 위협받았다.
-
학문과 교육의 억압: 조선의 학문과 교육도 일본의 통제 아래 있었다. 조선인들은 제한된 교육 기회를 받았고, 이를 통해 일본의 국가주의적인 가치와 이념이 주입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인들의 역사적인 인식과 자주주의적인 사고가 억압되었다.
-
항일운동과 억압: 조선인들은 일본의 억압에 저항하기 위해 다양한 항일운동을 벌였다. 하지만 일제는 항일운동을 강력하게 탄압하였고, 조선인들은 구타, 체포, 학살 등 많은 억압을 당했다. 항일운동은 조선인들의 저항의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이렇듯 일제강점기 조선인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인 억압을 당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조선인들은 힘들게 저항하고, 자주주의와 독립운동을 펼치며 일제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조선은 1945년에 일제의 패망으로 독립을 찾았으며, 현재의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쳤다.
1970년~1980년대
-
남한의 1970년부터 1980년도까지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당시,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검은색 일본식 교복을 입었고, 머리는 군인과 같이 아주 짧게 머리를 잘랐다. 그들이 다닌 중고등학교는 남자 중 고등학교였다. 한반의 학생 수는 60명이었다. 고등학교 때는 교련(敎鍊) 이라는 수업이 있었다. 남한의 교련(敎鍊)은 사관생도나 학군후보생, 군사학과 등 군사교육 이수자가 아닌,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기관에 재학중인 일반 학생들에게 실시된 군사 관련 교육훈련 과목이다. 당시남한의 의무교육은 국민학교까지이었다. 밤 12시부터 새벽 5시까지는 어떠한 사람도 거리를 다니지 못하는 법이 있었고, 북한 침입에 대비하여 지하도 대피 훈련도 있었다. 시내에서 장발하는 것을 금지했고, 짧은 치마를 입는 것도 금지하여 경찰들이 위반한 사람들을 감옥에 집어넣기도 하였다. 버스 값은 25원이었고 택시는 기본요금 500원이었다. 버스에는 버스비를 받는 버스의 여자 승무원이 있었다. 서울의 1970년도 공기는 매우 오염되어 있었다. 1975년도에 베트남은 통일이 되었고 1977년에 한국은 100억불 수출을 하였다. 1970년도에는 필리핀과 남미의 나라들과 북한이 남한보다 더 잘 살았다. 한국의 남자는 군대를 다녀오지 않으면 해외여행이 금지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시절 교육받은 사람들은 반공교육이 철저히 교육되어 있다. 영화관에서는 애국가와 대한뉴스라는 것을 영화 시작하기 전에 보여준다. 관람객은 애국가가 나오면 모두 일어섰으며, 대한뉴스는 당시 반공 교육의 한 종류였다. 한국에서도 수업 시작 전, 국기에 대한 맹세라는 것을 재창한다. 선생님에게는 항시 수업 시작 전 모든 학생이 목례를 하고 수업이 시작되었다. 일본식 교육의 잔재이다. 남한에서는 결혼한 여자를 부를때 그녀의 이름은 호명하지 않았다. 결혼한 여자는 누구의 엄마라고 불렀다. 가정집의 난방은 연탄 보일러를 이용하였다. 난방은 아궁기를 통해 난방을 하였기 때문에 방의 바닥은 따뜻하였으나, 난방이 직접적으로 하는 부분만 많이 따뜻했다. 당시 밥을 보온하는 전자밥통은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밥그릇에 밥을 넣고 이불을 덮고 방의 따뜻한 바닥에 놓아서 밥의 보온을 하였다. 음악을 들을 때는 전축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대중교통은 버스였으며, 서울 지하철은 1호선,2호선이 있었다. 남한에서 칼러티비는 1980년부터 사용했고, 대학교 때 컴퓨터 수업은 사람 키보다 큰 캐비넷 크기의 대형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었고 personal computer 16 bit가 사용된 것이 1985년도부터이다. 그 때 PC 가격은 250만원이었고 당시 직장의 평균 월급은 100만원보다 작았다.
1946~현재 북한:
-
1948년 2월: 조선인민군이 창설되다. 1948년 8월: 최고인민회의의 대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1948년 9월 9일: 최고인민회의가 헌법을 채택, 북위 38선 이북에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하였다. 북한의 대통령의 순서는 김일성(1948~1994), 김정일(1944~2011), 김정은(2011~현재)이다.
1912~현재 중화민국中華民國 (타이완):
-
1912년부터 1949년까지의 중국 대륙은 중화민국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중국을 지칭하는 경우, 현재 중국 대륙을 통치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닌 중화민국을 일컫는다.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중화민국은 타이완으로 정부를 옮긴다. 중화민국의 대통령은 장개석蔣介石 (1948 ~1949), 이종인李宗仁 (1949~1950), 장개석蔣介石 (1950~1975), 엄가감嚴家淦 (1975~1978), 장경국蔣經國 (1978년 ~1988년), 이등휘李登輝 (1988~2000), 진수편陳水扁 (2000~2004), 마영구馬英九 (2008~2016), 채영문 蔡英文 (2016~ ) 순이다.
1919~현재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國: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中华人民共和国)은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의 주도로 1949년 10월 1일에 건국되었다.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는 모택동毛澤東 (1949-1959), 유소기劉少奇 (1959-1968), 송경령宋慶齡 (1968-1972), 둥비우董必武 (1972-1975), 송경령宋慶齡 (1981), 이선념李先念 (1983-1988), 양상곤楊尚昆 (1988-1993), 강택민江澤民 (1993-2003), 호금도胡錦濤 (1003-2013), 습근평習近平 (2013-) 순이다.
남한 대통령
1~3대 대통령은 이승만은 1948에서 1960년간 재임했다.
-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직 수행하고 1950년에 한국전쟁 6·25전쟁이 일어났다. 1960년 3·15부정선거로 인해 일어난 4·19혁명에 의해서 4월 26일에 사임을 발표한다. 대통령 중 가장 민간인(1947년 제주 4.3사태등)을 많이 죽인 대통령이기도 하다.
4대 대통령: 윤보선
-
우리나라 대통령 중에서 유일하게 의원 내각제 정부로 대통령직 수행했지만 1962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면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1년 5개월만 대통령을 일했다.
1963~1993 군사정권
5~9대 대통령은 박정희은 1963에서 1979년간 재임했다.
-
5·16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으면서 유신과 3선 개헌으로 5대부터 9대까지 거의 16년을 대통령직 수행하였다. 경제발전과 새마을 운동으로 유명하지만, 독재로도 가장 유명한 대통령이다. 결국 ‘10·26의거’이라고 불리는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 의사 의해 살해당했다.
-
박정희 아들, 박지만이 경영하는 EG그룹의 자산총액은 733억 2931만여 원, 매출액은 1125억 6329만여 원이다(2018년 기준).
10대 대통령: 최규하
-
박정희가 대통령을 할때 국무총리를 하였으며, 박정희 조카 처남이다. 박정희 대통령 사망한 뒤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대통령 대행으로 1979년 10월 27일부터 1979년 12월 6일까지 대통령 권한 대행을 하고 1979년 12월 6일 대통령직을 수행하였으나 8개월 만에 신군부의 압박으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대한민국 대통령 역대 최단 재임기간 대통령이다.
11~12대 대통령은 전두환은1980에서 1988년간 재임했다.
-
12·12사태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1980년 간접 단독 출마해 11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5·18광주 민주화운동 유혈진압과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까지 발생하였다. 2021년까지 5.18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재판을 받았지만 사형을 선고를 받지 못해 안타까움이 있다. 그 후손들은 전두환 재임기간 모아 돈 자금을 가지고 넉넉하게 살고 있다.
-
전두환은 재임기간 중 재벌총수 30여명으로부터 5000억원대의 뇌물을 받았다는 재판에서 추징금으로 판결이 났다.
13대 대통령, 노태우는1988에서 1993년간 재임했다.
-
12·12사태를 통해 권력을 장악할 때, 전두환의 부하로서 12.12사태에 같이 했다.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직선제를 통해서 선출된 대통령으로 당시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김영삼 후보의 단일화가 결렬되면서 두 후보를 제치고 13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1993~2008 문민정부
14대 대통령, 김영삼은 1993에서 1998년간 재임했다.
-
문민정부 시작이었고, 하나회(전두환 소속 군인집단) 척결과 금융실명제를 실시하고, 공직자 재산공개 등으로 인기를 얻었던 대통령으로 임기 말년 1997년에 외환위기가 발생하면서 임기를 마쳤다.
15대 대통령, 김대중은 1998에서2003년간 재임했다.
-
2000년도에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 수상한 대통령이고 2002년에는 한일월드컵이 있었다. 에모리 대학 명예박사이기도 하다.
16대 대통령, 노무현은 2003에서2008년간 재임했다.
-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된 대통령이다.
2008~2017 실형 선고받은 대통령
17대 대통령, 이명박은 2008에서 2013년간 재임했다.
-
현대건설 회장을 지낸 후 서울시장을 지낸 후 17대선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4대강 사업으로 엄청난 돈을 낭비하고 국토를 망가뜨려 2023년에도 해결이 안된 상태이며, 당시 미국 쇠고기 광우병이 한국에서 발생하였다고 신문에 보도되었다. 형을 받고 감옥에 들어갔으나 2023년 20대 윤석열이 사면 한 상태이다. 이명박은 BBK 주가조작 사건으로도 유명하다.
18대 대통령, 박근혜은 2013에서 2017년간 재임했다.
-
박정희의 딸이다. 박근혜는 대통령으로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세월호 사건’(2014)으로 시작해서 2017년 헌번재판소에서 탄핵 결정되면서 대통령직에서 물러남. 2023년 20대 윤석열이 사면 한 상태이다.
2017~ 문민정부
19대 대통령, 문재인은2017에서 2022년간 재임했다.
-
대통령 중 가장 무난하고 나라를 발전시시고 남북관계도 증진시킨 대통령이다. 원만하게 관리됐다. 한국은 세계 10위 경제대국이 되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 정책에 실패한 대통령이기도 하다.
20대 대통령, 윤석열은 2022년 05년 10일 ~현재까지 재임하고 있다.
-
윤 정부는 한국의 민주주의 평가에서 10대 중반에서 20대 후반으로 떨어졌다. MD평가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지난해 4년 만에 4단계 (2021년 23위 → 2022년 27위) 떨어졌다. 이후 또다시 순위가 한단계 더 하락했다. ‘정부 효율성’ 순위가 36위에서 38위로 내려갔다. 재정부문 순위가 32위에서 40위로 8계단 떨어져 큰 폭으로 내려갔다. 일반정부 부채 실질증가율이 34위에서 56위로 크게 떨어졌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한일정상회담이 끝난 다음날인 2023년 3월 18일, 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윤석열 정부의 망국외교를 심판하자”며 규탄 집회를 열었다.